본문 바로가기
생활

명절(설, 추석) 차례 지내는 법

by 프리디 권 2023. 1. 19.
반응형

 

이 전 글에서 명절(설, 추석) 차례상 차리는 법에 대해 알아보았고 이 번에는 차례를 지내는 방법을 이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지역에 따라 차례를 지내는 방식이 조금씩 다를 수는 있지만 큰 틀은 바뀌지 않기에 차례를 처음 지내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1. 명절(설, 추석) 차례의 순서

가. 분향재배: 강신 전 향불에 분향하는 것.

나. 강신재배: 신위께서 강림하시어 음식을 드시기를 청하는 것.

다. 참신: 강신 후 모든 참신 자가 재배하는 것.

라. 헌작: 술잔을 올리는 것.

라. 계반과 삽시: 밥그릇의 뚜껑을 열고 수저를 꽂는 것.

마. 합문과 계문: 신위께서 불편하지 않게 잠시 자리를 비웠다가 들어오는 것.

바. 철시복반과 사신: 수저를 거두고 밥그릇의 뚜껑을 닫는 것.

사. 철상과 음복: 상을 걷은 후 차례상 음식을 시식하는 것.

 

2. 명절(설, 추석) 차례의 순서별 상세

. 분향재배

- 제주는 차례상 앞에 무릎을 꿇고 두 손으로 향불에 분향을 한다.

- 제주는 분향 후 절을 재배한다.

나. 강신재배

- 제주 이하 모든 사람은 제주의 뒤에서 두 손을 모아 선다.

- 제주는 신위 앞에 나아가 꿇어앉아 분향한다.

- 집사자는 술을 술잔에 차지 않도록 따라 제주에게 건네준다.

- 제주는 집사자에게 잔을 받아 모사 그릇에 3번 나누어 모두 붓는다.

- 제주는 빈 잔을 집사자에게 건네주고 일어나서 재배한다..

다. 참신: 제주의 강신 이후 모든 참신 자는 함께 재배한다.

라. 헌작: 제주는 윗대부터 아랫대 조상까지 차례대로 술을 가득 올린다.

마. 계반과 삽시

- 계반이라 하여 메(밥) 그릇의 뚜껑을 연다

* 설에는 떡국을, 추석에는 송편을 올린다.

- 삽시정저라 하여 아래와 같이 놓는다.

* 설에는 수저를 떡국에, 추석에는 밥그릇에 세 번 꽂은 후 수저의 안쪽이 동쪽으로 향하게 놓는다.

* 시적 그릇에 젓가락은 가지런히 하여 자루가 서쪽으로 향하게 걸친다.

* 참고로 젓가락을 고르는 방식은 지방에 따라 다르다.

바. 합문과 계문

- 모든 참사자는 문을 닫고 밖으로 나가서 자리를 피한다.

- 참사자 전원이 한참 동안 부복하는 것으로 합문을 대신하기도 한다.

- 합문은 밥을 9번 떠먹을 동안의 시간을 가진다.

- 참사자는 제주를 따라 문을 열고 안으로 들어간다.

사. 철시복반과 사신

- 수저와 젓가락을 거두고 메() 그릇에 뚜껑을 덮는다.

- 참사자는 재배 후 신주일 경우 사당에 모시고, 지방과 축문을 태운다.

아. 철상과 음복

- 제상 위의 술을 먼저 물린 후 음식과 제기를 물린다.

- 참사자들은 술과 음식을 나누어 먹는다.

 

3. 명절(설, 추석) 차례의 용어 정리

- 분향: 제사나 예불 등에서, 향로에 불붙인 향을 넣고 연기를 피우는 일을 이른다.

- 재배: 두 번 절함. 또는 그 절.

- 제주: 제사의 주장이 되는 상제

- 강신: 처음 잔을 올리기 전에 신을 내리게 하기 위하여 향을 피우고 술을 따라 모...

- 신위: 죽은 사람의 영혼이 의지할 자리. 죽은 사람의 사진이나 지방 따위를 이른다.

- 집사자: 일을 맡아서 실제로 처리하는 사람.

- 모사: 제사에서, 술을 따르는 그릇에 담은 모래와 거기에 꽂은 띠의 묶음.

- 참신: 강신한 다음에 하는 것으로, 신주 앞에서 절을 한다.

- 합문: 전원이 밖으로 나오고 문을 닫는다

- 참사자: 제사에 참석한 사람.

- 부복: 고개를 숙이고 엎드림.

- 계문: 합문 후 일정 시간이 지난 후 문을 열고 안으로 들어간다.

- 철시: 제사 때에 숭늉그릇에 있는 수저를 거두어 내림.

- 복반: 제사 때에 메 그릇의 뚜껑을 다시 덮음.

- 사신: 종헌한 다음에 신을 보내는 일이다. 두 번 절하고 지방과 축문을 불사른다.

- 철상: 음식상이나 제사상을 거두어 치움

- 음복: 제사를 지내고 난 뒤 제사에 쓴 음식을 나누어 먹음.

- 제상: 제사를 지낼 때 제물을 벌여 놓는 상.

- 제기: 제사에 쓰는 그릇. 놋그릇, 사기그릇, 나무 그릇이 있다.

 

명절(설, 추석) 차례의 순서에서 방법 및 용어까지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았는데, 혹시 차례상 차리는 법을 안 보고 오신 분들이 계실지 몰라서 아래에 이 전 글을 올려 놓았으니 참고하시면 좋을거 같습니다.

 

명절(설, 추석) 차례상 차리는 법

 

명절(설, 추석) 차례상 차리는 법

우리나라는 유교사상의 영향으로 최소 일 년에 두 번은 차례상을 차리고 계시는 분들이 많이 계시는데, 물론 간소하게 차리거나 생전 어르신들이 좋아하셨던 음식 위주로 차리시는 분들, 아니

freedkwon.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