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제사를 지내는 방식은 지역에 따라 다르기도 하고 종교에 따라 다르기도 하기 때문에 같은 방식으로 지내야 한다고 할 수는 없으니 상황에 따라서 지내시기를 권유드립니다.
기제사 상 차리는 법
기제사는 돌아가신 조상들을 추모하고 기억하기 위한 전통적인 유교의례인데, 일반적으로 조상이 돌아가신 전날 기제사 상을 차리고, 돌아가신 날 가장 이른 시각에 지내는 것이 맞습니다. 하
freedkwon.tistory.com
1. 기제사 지내는 순서
가. 강신재배: 제주가 조상님이 오셔서 음식 드시길 청합니다.
나. 참신: 제주 이하 모든 참신 자가 두 번 절합니다.
다. 초헌: 제주가 술과 안주를 드시길 청합니다.
라. 독축: 조상님의 기일에 은혜를 잊지 못해 준비한 술과 음식을 청하는 행위
마. 아헌: 조상님과 제주 다음으로 가까운 사람이 술과 안주를 드시길 청합니다.
바. 종헌: 제주의 자식 또는 다음으로 가까운 사람이 술(7부)과 안주를 드시길 청합니다.
사. 첨작: 종헌자가 다 채우지 않은 술잔에 집사자가 술을 채우도록 합니다.
아. 계반과 삽시: 밥그릇의 뚜껑을 열고 수저를 꽂아 식사하기를 청합니다.
자. 합문과 계문: 조상님이 음식을 드시는데 불편하지 않도록 잠시 자리를 비웠다가 들아오도록 합니다.
차. 헌다: 국을 물리고 숭늉을 청합니다.
가. 철시복반철시복반과 사신: 수저를 거두고 밥그릇의 뚜껑을 덮은 후 신주 또는 지방을 치우도록 합니다.
타. 철상과 음복: 상을 물린 후 음식을 시식합니다.
2. 기제사 지내는 순서별 상세
가. 강신재배
- 제주는 무릎을 꿇고 두 손으로 향불에 향을 피웁니다.
- 제주가 분향을 할 때 모든 참신자 들은 뒤에서 손을 모아 서있습니다.
- 집사자는 술잔에 가득 차지 않도록 술잔에 따라 제주에게 건네도록 합니다.
- 제주는 집사자에게 건네 받은 술잔을 향불에 3번 돌린 후 모사 그릇에 3번 나누어 비우도록 합니다.
- 집사자는 제주에게 술잔을 돌려받아 신위 앞에 올리도록 합니다.
- 제주는 집사자에게 빈 술잔을 돌려보내고 두 번 절 합니다.
나. 참신: 제주 이하 모든 참신 자가 두 번 절 합니다.
다. 초헌
- 제주는 무릎을 꿇고 두 손으로 향불에 향을 피웁니다.
- 집사자는 빈 술잔을 제주에게 건네고 빈 술잔에 술을 따르도록 합니다.
- 제주는 술잔을 향불에 3번 돌린 후 모사 그릇에 조금씩 나누어 3번 따르도록 합니다.
- 집사자는 제주에게 잔을 돌려 받아 신위 앞에 올리도록 합니다.
- 집사자는 젓가락을 들어 가볍게 세번 두드린 후 손잡이가 서쪽을 향하여 올리도록 합니다.
- 제주는 두 번 절 합니다.
라. 독축
- 제주 이하 모든 참신자들은 무릎을 꿇고 머리를 숙입니다.
- 축관은 제주의 좌측에 꿇어 앉아 축문을 읽도록 합니다.
- 축문이 끝나면 제주만 두 번 절 합니다.
마. 아헌
- 아헌관(제주의 주부 또는 조상님과 제주 다음가는 사람)은 무릎을 꿇고 두 손으로 향을 피웁니다.
- 집사자는 빈 술잔을 아헌관에게 건네고 빈 술잔에 술을 가득 따르도록 합니다.
- 아헌관은 가득 찬 술잔을 집사자에게 돌려주도록 합니다.
- 집사자는 아헌관에게 잔을 돌려 받아 신위 앞에 올리도록 합니다.
- 집사자는 젓가락을 들어 가볍게 세번 두드린 후 손잡이가 서쪽을 향하게 하여 올리도록 합니다.
- 아헌관은 두 번 절 합니다.
마. 종헌
- 종헌관(아헌관 다음가는 사람)은 무릎을 꿇고 두 손으로 향을 피웁니다.
- 집사자는 빈 술잔을 종헌관에게 건네고 빈 술잔에 술을 반만 따르도록 합니다.
- 종헌관은 반만 찬 술잔을 집사자에게 돌려주도록 합니다.
- 집사자는 종헌관에게 잔을 돌려 받아 신위 앞에 올리도록 합니다.
- 집사자는 젓가락을 들어 가볍게 세번 두드린 후 손잡이가 서쪽을 향하도 하여 올리도록 합니다.
- 종헌관은 두 번 절 합니다.
바. 첨작
- 제주는 무릎을 꿇고 앉아 집사자에게서 빈 술잔을 받도록 합니다.
- 집사자는 제주가 들고있는 빈 술잔에 술을 채우도록 합니다.
- 제주는 술잔을 향불에 3번 돌린 후 집사자에게 술잔을 돌려주도록 합니다.
- 집사자는 돌려 받은 술잔을 신위 앞에 있는 술잔에 세 번 나누어 가득 채우도록 합니다.
사. 계반과 삽시
- 계반이라 하여 밥 그릇의 뚜껑을 열고 삽시정저라 하여 아래와 같이 놓도록 합니다.
* 설에는 수저를 떡국에, 추석에는 밥그릇에 세 번 꽂은 후 수저의 안쪽이 동쪽으로 향하게 놓는다.
* 젓가락은 가지런히 하여 자루가 서쪽으로 향하게 하여 음식 위에 걸치도록 합니다.
- 제주는 두 번 절 합니다.
아. 합문과 계문
- 제주 이하 모든 참사자는 문을 닫고 밖으로 나가서 자리를 피하도록 합니다.
- 합문이 어려울 경우 제주 이하 모든 참신자 들은 무릎을 꿇고 머리를 숙이는 것으로 대신하기도 합니다.
- 합문은 밥을 9번 떠먹을 동안의 시간을 가진다.
- 참사자는 제주를 따라 문을 열고 안으로 들어간다.
자. 헌다
- 제주 이하 모든 참사자는 무릎을 꿇고 앉아 있습니다.
- 집사자는 국 그릇을 물리고 숭늉을 올려놓습니다.
- 집사자는 밥그릇에서 밥을 조금씩 3번 떠서 숭늉에 넣어 천천히 저어 줍니다.
- 집사자는 수저를 숭늉 그릇에 수저의 안쪽이 동쪽으로 향하게 놓습니다.
- 집사자는 술잔을 한 바퀴만 돌리도록 합니다.
- 제주의 신호에 따라 모두 자리에서 일어나도록 합니다.
차. 철시복반과 사신
- 수저와 젓가락을 거두고 메(밥) 그릇에 뚜껑을 덮는다.
- 제주 이하 모든 참사자는 재배 후 신주일 경우 사당에 모시고, 지방과 축문을 태운다.
아. 철상과 음복
- 술을 먼저 물리고 음식을 물리도록 합니다.
- 제주 이하 모든 참사자들은 술과 음식을 나누어 먹는다.
3. 기제사의 기본 용어 정리
- 제주: 제사의 주장인 상제
- 참사자: 제사에 참석한 사람.
- 신위: 죽은 사람의 영혼이 머물 수 있는 자리로서 사진이나 지방 따위를 이른다.
- 집사자: 일을 맡아서 처리하는 사람.
- 모사: 술을 따르는 그릇에 담은 모래와 거기에 꽂은 띠의 묶음.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명품은 비싼데 돈은 왜 안줘?" 발란의 '명품스러운' 정산 미스터리! (0) | 2025.03.28 |
---|---|
GTX 노선과 효과(수도권광역급행철도 국민참여단모집) (0) | 2023.02.05 |
기제사 상 차리는 법 (0) | 2023.01.26 |
명절(설, 추석) 차례 지내는 법 (0) | 2023.01.19 |
명절(설, 추석) 차례상 차리는 법 (1) | 2023.01.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