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우리나라는 유교사상의 영향으로 일 년에 두 번은 차례상을 차리고 계시는 분들이 많이 계시지만, 간소하게 차리거나 고인이 좋아하셨던 음식 위주로 차리 등 지역마다 음식을 달리 놓는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처음 차례상을 준비하는 경우가 있으신 분들도 있을 것 같아서 명절(설, 추석) 차례상 특징과 명절(설, 추석) 차례상 차리는 법, 그리고 명절(설, 추석) 차례상 용어를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명절(설, 추석) 차례상 특징
- 진설법이라 하며 기재사와 달리 밥을 대신하여 추석에는 송편을, 설에는 떡국을 올려놓습니다.
명절(설, 추석) 차례상 차리는 법
- 첫째 줄 왼쪽부터 순서대로 대추, 밤, 곶감, 배, 사과, 망과류, 조과류
- 둘째 줄 왼쪽부터 순서대로 포, 콩나물, 나물, 숙채, 청장, 침채, 식혜
- 셋째 줄 왼쪽부터 순서대로 육탕, 소탕, 어탕
- 넷째 줄 왼쪽부터 순서대로 전, 육전, 소적, 채전, 어적
- 다섯째 줄 왼쪽부터 송편, 국, 떡, 국
- 여섯째 줄 신주 또는 지방
망과류: 참외, 딸기 등
조과류: 다식, 산자, 약과 등
침채: 김치, 동치미 등
숙채: 불에 삶거나 쪄서 익힌 나물
반응형
명절(설, 추석) 차례상 용어
- 조율시이: 조(대추), 율(밤), 시(곶감), 이(배) 또는 조, 율, 이, 시
- 좌포우혜: 왼쪽에는 포(문어, 명태, 오징어 등)를 오른쪽에는 식혜를 놓는다.
- 어동육서
- 어탕(어류)은 동쪽에 육탕(육류)은 서쪽에 놓고 그 사이에는 소탕(채소, 두부)을 놓는다.
- 항상 탕은 단탕, 삼탕과 같이 반드시 음수(홀수)로 쓴다.
- 어적(어류)은 동쪽에 육적(육류)은 서쪽에 놓고 그 사이에는 채적(채소, 두부)을 놓는다.
- 어전(어류)은 동쪽에 육전(육류)은 서쪽에 놓고 그 사이에는 채전(채소, 두부)을 놓는다.
- 적이라 함은 불에 굽거나 찐 것을 말한다.
- 전이라 함은 기름에 튀긴 것을 말한다.
- 두동미서: 어류의 머리는 동쪽을 보게 하고 꼬리는 서쪽을 향하게 놓는다.
- 홍동백서: 붉은색 과일은 동쪽에 놓고 흰색 과일은 서쪽에 놓는다.
지금까지 기본 차례상 차리는 법을 알아보았는데, 요즘은 위에 정해진 음식을 놓기보다는 생전 좋아하셨던 음식이나 지역 특산품을 올려놓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명절의 의미가 조상을 모시는 것에 있기도 하지만 옛 시대에 먹을 것이 없다 보니 명절에라도 모두 모여 맛있는 음식을 먹는 것에 의미를 두기도 하였다고 합니다.
여러분들도 너무 명절 차례상 형식에 부담스러워하지 마시고 서로 바쁘다 보니 모이기 힘들었던 가족과 함께 오랜만에 따뜻한 음식을 나누며 대화하는 것에 큰 의미를 가지셨으면 합니다.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명품은 비싼데 돈은 왜 안줘?" 발란의 '명품스러운' 정산 미스터리! (0) | 2025.03.28 |
---|---|
GTX 노선과 효과(수도권광역급행철도 국민참여단모집) (0) | 2023.02.05 |
기제사 지내는 순서 (1) | 2023.01.26 |
기제사 상 차리는 법 (0) | 2023.01.26 |
명절(설, 추석) 차례 지내는 법 (0) | 2023.01.19 |
댓글